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서울 성동구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26. 3.)을 앞두고 최근 통합판정체계 도입 등 변화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에 대한 정책방향 이해도를 높이고자 지난 7월 25일 특강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은 돌봄이 필요한 구민이 단순한 서비스 대상이 아닌 전인격적 존재로 삶의 마무리까지 살고 있는 곳에서 존엄하고 행복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이 함께 지역중심의 돌봄체계 실현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구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 중으로, 올해 4월부터 고령자 등 복합 돌봄이 필요한 구민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건강관리, 주거 등 다양한 영역의 돌봄서비스를 개인별 수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통합 지원하는 등 '성동형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구청 내 돌봄 관련 11개 부서가 참여하는 ‘통합돌봄추진단’과 27개 민관기관이 참여하는 ‘돌봄통합지원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하여 부서·기관 간 협업 및 연계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으며, 주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의료, 요양,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합돌봄 전담창구’ 45개를 운영하고 있다.
강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돌봄통합지원실 최재우 부연구위원이 진행했으며 ▲7월 14일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통합판정체계의 구조와 실제 적용 방법 ▲시범사업 운영성과 ▲돌봄통합지원 정책 방향 및 향후 준비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특강에는 구청 및 동 주민센터 실무자뿐만 아니라, 복지관, 의료기관, 노인요양시설 및 장기요양기관 등 지역 내 60여 개 민간 돌봄 기관 실무자 등 총 15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민간 기관 실무자들은 “가까운 지역 내에서 실질적인 통합돌봄 정책 강의를 들을 수 있고, 한자리에 모여 정보 교류와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라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단편적인 돌봄서비스 확장이 아닌, 통합돌봄 지원체계 구축으로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지역중심의 돌봄을 지향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통합돌봄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행정적 지원과 민관 거버넌스를 더욱 활성화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