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회, 왜 부동산 매물로 전락했나”… 사라지는 예배당의 그림자
한국 곳곳에서 교회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와 마포구, 경기 고양시, 충남 천안시까지 ‘임대’ 또는 ‘매매’ 표시가 붙은 교회 건물이 중개사이트에 넘쳐난다. 일각에선 “이제 교회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피할 수 없다”는 냉소가 들린다. 본지는 나헤라공동체의 수(SU) 유스티노 수사를 만나, 교회 매물 증가 현상의 원인과 그에 따른 사회적·신앙적 함의를 들어보았다. “교회, 공간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해야” 수 수사는 “지금의 현상은 단순한 부동산 문제가 아니라, 한국 교회의 구조적 피로가 드러난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공동체성보다 프로그램과 운영 중심의 교회가 많아졌고, 목회가 직업화되면서 예배당이 생계 기반이 되다 보니, 결국 사람은 떠나고 건물만 남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교회가 도시개발과 임대료 상승 같은 외부 변수에 지나치게 취약한 구조가 되어버렸다”며, “공동체가 실종된 교회는 지속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팬데믹 이후 예배당 의미 달라져… “공간 없는 교회로 간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예배가 정착되며, ‘교회는 반드시 건물이 있어야 한다’는 고정관념도 흔들리고 있다. 수 수사는 “예배는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드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