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고용률은 낮고 ‘쉬는 청년’은 늘고… 청년들, 스스로 직업을 짓다
구제 의류부터 김밥집까지… 고정된 일자리 대신 ‘직접 설계한 생계’ 택한 30대 N잡러의 현실청년들이 일자리를 잃거나, 처음부터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한 채 '쉬고 있는' 숫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청년층 고용률은 45.3%로 202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실업률은 7.3%, ‘쉬는 청년’은 1년 전보다 1만5000명 늘어난 41만5000명에 달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 쉬고 있다든지, 다음 일을 준비하기 위해 쉬고 있다고 답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냥 기다릴 순 없었다”… 청년, 스스로 직업을 만든다경기도 고양시의 한 상가 4층, 좁은 복도 끝에 자리한 작은 점포.여기선 오전엔 김밥이 만들어지고, 오후엔 중고 의류가 팔린다.그리고 그 중심에 선 사람은 30대 청년 희희 씨다. “사실 저도 전에는 회사에 다녔어요. 그런데 언제 잘릴지 모르는 불안이 컸고, 좋은 일자리는 줄어드는데 도전할 자원은 부족하더라고요. 그래서 아예 제 일을 직접 만들기로 했죠.” 그녀는 어머니와 공간을 나눠 쓰며, 김밥집과 구제 의류 라이브커머스를 동시에 운영한다.낮엔 어머니가 주방을 쓰고,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