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여지안 기자 |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문영미 의원(비례대표, 국민의힘)은 3월 19일 열린 제327회 임시회에서 '시민건강국'을 대상으로 부산시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 해소 방안이 포함되지 않은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미흡함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보완과 격차 해소를 위한 부산시의 의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2021년 시도별 건강수명’ 자료에 따르면, 서울특별시는 건강수명이 가장 긴 도시로 나타난 반면, 부산광역시는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며 불명예를 안았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으로 인해 건강하지 못한 기간을 제외한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는 년수’를 의미하며, 기대수명은 태어난 사람이 평균적으로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년수를 뜻한다.
문영미 의원은 “부산시가 특·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역보건의료계획에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부산시는 심뇌혈관질환 및 암 사망률 등 주요 건강지표가 전국 최하위권이고, 남녀 기대수명 격차도 큰 상황”이라며, “건강수명 연장과 격차 해소를 위한 체계적인 대응책이 미흡한 만큼, 이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문영미 의원은 “부산시가 진정한 ‘건강도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 · 계층 간 건강격차를 해소하고, 모든 시민이 동등한 건강권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