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일명 ‘키 크는 주사’로 불리는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제 처방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장호르몬 주사의 오남용 현상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제 관련 이상사례 보고건수가 2019년 436건에서 2023년 1,626건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436건, 2020년 660건, 2021년 1,189건, 2022년 1,603건, 2023년 1,626건이었다.
주요 이상 사례로는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주사 부위 통증, 주사 부위 출혈, 주사 부위 타박상 등), ▲감염 및 기생충 감염(바이러스 감염, 비인두염, 인플루엔자, COVID-19 등),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두드러기, 발진, 소양증, 홍반 등), ▲각종 신경계 장애(두통, 어지러움, 졸림, 감각 저하 등)가 보고됐다.
특히 중대 이상사례 보고 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32건이었던 중대 이상사례가 2023년 113건으로 약 3배 증가했는데, 전체 이상사례 증가세에 비해 중대 이상사례의 증가 비율이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24년 6월 중대 이상사례는 81건으로, 이미 전년도의 절반을 넘어섰다. 전체 이상사례에서 중대 이상사례가 차지하는 비율도 급격하게 증가했는데, 2021년 2.6%였던 중대 이상사례 비율이 2023년 6.9%, 2024년 6월에는 10.6%까지 증가했다.
다빈도로 보고된 중대 이상사례는 ▲감염 및 기생충 감염(폐렴, 인두 편도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등), ▲각종 신경계 장애(발작, 실신, 어지러움, 두개 내압 증가 등),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상태 악화, 발열),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손 변형, 척추측만증, 골단 분리, 사지비대칭, 골괴사)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제 처방, 상급종합·종합병원 줄고, 병원·의원 증가세
한편 최근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제 처방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190,001건에서 2023년 247,541건으로 증가했으며, 2024년 6월 기준 124,997건이다.
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2022년부터 2024년 6월까지 상급종합병원 232,314건, 종합병원 218,412건, 병원급 의료기관 68,711건, 의원급 의료기관 68,711건이다.
특히 상급종합과 종합병원은 처방 비중이 2022년 대비 2024.6월에 각각 43.8%에서 37.4%, 39%에서 38.5%로 줄어드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은 11.5%에서 13.3%로, 의원급의료기관은 5.7%에서 10.8%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진숙 의원은 “일부 성장클리닉에서는‘키 크는 주사’로 알려지면서 신장 증가를 위해 성장호르몬을 처방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성장호르몬 자체에 의한 부작용이나, 소아 시기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후 성인 시기에 어떤 신체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부작용인 만큼 심각한 부작용이 급격하게 증가한 사유가 무엇인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